티스토리

白雲仙人
검색하기

블로그 홈

白雲仙人

4321mun.tistory.com/m

산야초 야생화를 재배하면서 취미로 화분에 반려식물을 재배하거나 산야초 화분판매등에 대해 전문지식과 소소한 일상적 이야기를 나누는 블러그로 나아가고자 한다.

구독자
2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나도 기자가 될 수 있다 [기자대모집⋯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雲客(운객)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雲客(운객) 雲客(운객) 雲 구름 운 客 손 객 선인(仙人)이나 은자(隱者)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출처=네이버 사전] 雲客(운객)은 대개 구름 속의 사람. 즉 선인(仙人)이나 은자(隱者)를 일컫는 말로 많이 사용했으나 근래에는 대형마트나 백화점 시장등 가게에서 할인, 연예인 초청 행사를 열게 되면 구름같이 엄청나게 몰려 오는 손님을 雲客(운객)이라 비유하기도 한다. 또는 특정인들이 오픈하는 가게 즉 백사장이 TV방송과 지자체와 협력하여 요리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가게 등에는 구름과 같은 인파가 몰려 든다. 이들을 운객이라 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이 일반 사업장에서도 늘 일어난다면 사업자들의 마음은 즐겁기 그지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으..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5. 16.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淸爽(청상)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淸爽(청상) 淸爽(청상) 淸 맑을 청 爽 시원할 상 깨끗하고 시원하다[출처=다음사전] 몸과 마음이 상쾌할 때 淸爽(청상)하다라고 하는 청상(淸爽)은 산뜻하고 맑고 깨끗함이 더 할 나위없이 시원한 것을 말한다. 이 성어의 용례를 찾던 중 고려 후기의 문신인 안축(1287~1448)선생의 문집 근재집 제1권에 좋은 시(詩)가 있어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次興富驛亭詩韻(차흥부역정시운)흥부역 정자의 시에 차운하다 千畦禾黍舞風前(천휴화서무풍전) 넓은 밭 벼와 기장 바람에 일렁이는데 喜見農家大有年(희견농가대유년) 대풍년 든 농가를 기쁘게 바라보네 久倚陰軒淸爽足(구의음헌청상족) 그늘진 마루에 오래 쉬니 발까지 시원하고 水禽飛過小溪煙(수금비과소계연) 물새는 안개 핀 작은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5. 15.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雄偉(웅위)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雄偉(웅위) 雄偉(웅위) 雄 수컷 웅 偉 클 위 씩씩하고 뛰어남.[출처=네이버 사전] 풍모와 기품이 씩씩하고 뛰어난 雄偉(웅위)는 고려 시대의 문신이며 학자인 김부식(金富軾, 1075∼1151)선생이 편찬한 삼국사기에 나온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광개토왕비문 서문에 廣開土王 諱談德 故國壤王之子(광개토왕 휘담덕 고국양왕지자 광개토왕의 휘는 담덕이고 고국양왕의 아들이다. 生而雄偉 有倜儻之志(생이웅위 유척당지지).나면서 웅위롭고 남달리 높은 뜻이 있었다라는 글이 있다. 雄偉倜儻(웅위 척당)을 지닌 고구려의 왕과 백성들의 기상과 풍모가 남달랐음을 어렴풋 느낄 수 있는 ​비문을 접하니 왠지 한결 기운이 상승된다. 우쭐했던 마음이 우리의 민족성을 저버리고 납작 엎드려 .. 공감수 1 댓글수 1 2023. 5. 14.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重厚(중후)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重厚(중후) 重厚(중후) 重 무거울 중, 늦곡식 동/아이 동 厚 두터울 후 태도(態度)가 점잖고 마음씨가 너그러움.[출처=네이버 사전] 풍모가 점잖고 무거있으며 마음씨가 너그러운 重厚(중후)의 용례를 찾던 중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인 덕촌 양득중(梁得中:1665~1742)선생의 시문집인 덕촌집(德村集 ) 卷十 처사 김공 묘지명〔處士金公墓誌銘〕에 좋은 문장이 있어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竊觀其步履安詳절관기보리안상 動止和裕동지화유 重厚沈靜중후침정 言笑有時언소유시 望之而知其爲有德之器也망지이지기위유덕지기야 至於對人閑漫酬酢지어대인한만수초 亦皆恭謹詳審역개공근상심 不敢放過불감방과 而辭𥳑理當이사간리당 無一字剩語무일자잉어잉 가만히 보건대 그 발걸음이 차분하고 행동거지가 온.. 공감수 0 댓글수 2 2023. 5. 12.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風狂(풍광)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風狂(풍광) 風狂(풍광) 1. 질풍, 미친 바람 2. 미친 사람 3. 풍류(風流)를 추구함; 또, 그 사람[출처=네이버 사전] 風狂(풍광)은 우라 선현들이 즐겨 쓴 성어인데 현대에 와서 쓰지않는다고 포털검색기관에서는 일본어사전으로 번역게재되어 있다. 충분히 우리의 말이 아닌 일본 성어로 착각 할 수 있기에 선인들이 즐겨 쓰지않은 성어라면 조선후기 일본에서 들어 온 밀이 맞을 수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인터넷 포털기관의 잘 못된 오류 일지 모른다는 생각에 옛 문집들을 찾아보니 風狂(풍광)은 우리 선현들의 아주 많이 쓴 성어의 하나로서 특히 시의 시어로도 많이 등장하는 즉 즐겨 쓴 성어이다. 그렇기에 우리 말 해석풀이가 없는 것은 오류가 맞다고 본다. 용례를 .. 공감수 1 댓글수 1 2023. 5. 11.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森羅(삼라)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森羅(삼라) 森羅(삼라) 森 수풀 삼 羅 벌일 라(나)/그물 라(나) 숲의 나무처럼 무척 많이 벌려 서 있음. 우주.[출처=네이버 사전] 흔히들 우주(宇宙) 안에 있는 온갖 사물(事物)과 현상(現象)을 森羅萬象(삼라만상)이라 하듯이 森羅(삼라)는 숲을 펼쳐 놓은 것을 말하며 이것은 곧 이 세상 모든 것 우주를 뜻하는 말이 된 듯 하다. 삼라의 용례를 찾던 중 조선시대 영천군수, 형조정랑, 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인 허적(許𥛚)(1563~1640)선생의 시문집 水色集(수색집) 卷一(권일)에 詩(시) 題窟庵(제굴암) 又(우) 굴암에 제하다 또에 좋은 용례가 있어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危巖峭壁碧山傍(위암조벽벽산방) 험한 바위 푸른 산자락 절벽 가파르고 小刹重修草樹..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5. 9.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濤聲(도성)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濤聲(도성) 濤聲(도성) 濤 물결 도, 조수 주 聲 소리 성 파도(波濤) 소리. 물결치는 소리.[출처=네이버 사전] 濤聲(도성)​은 해변가 모래사장에 부딪치면서 나는 파도소리, 바윗돌에 부딪치면서 나는 소리, 파도와 파도가 부딪치면서 나는 소리, 거센 태풍속에 파도소리, 은은한 달빛에 고요한 파도소리등 다앙햔 파도의 소리를 도성이라 한다. 이와 같은 뜻을 지닌 濤聲(도성)은 예부터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는 시어로서 시인들의 시문에 자주 등장하는 사랑받는 성어이다. 옛 선현들이 남긴 용례 글을 찾던 중 고려 말·조선 초의 학자·정치가인 이색(李穡)(1328~1396) 선생의 시문집 목은시고 제3권에 좋은 시(詩)가 있어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有感(느낌이 있어)..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5. 7.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刹那(찰나)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刹那(찰나) 刹那(찰나) 刹 절 찰 那 어찌 나, 어조사 내 1. 극히 짧은 시간(時間). 1찰나는 75분의 1초에 해당(該當)한다고 함. 겁(劫). 2. 어떤 사물(事物) 현상(現象)이 이루어지는 바로 그때. 순간(瞬間).[출처=네이버 사전] 네이버 지식백과에 불교에서 시간의 최소단위를 나타내는 말을 刹那(찰나)라고 한다. 즉 순간과 같은 의미이다. 흔히들 찰나 순간의 선택은 십년을 좌우한다라고 한다. 그러나 그 선택은 일평생을 좌우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아니된다. 인생은 노트의 종이가 아니기에 지워도 지워도 지워질 수 없는 생임으로 찰나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인간으로 태어나 죽음에 이를 때까지 한 생애는 영원할 것 같지만 한순간 찰나에 불과하다. 그러..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5. 6.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靜窩(정와)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靜窩(정와) 靜窩(정와) 靜 고요할 정 窩 움집 와 고요한 움집 靜窩(정와)는 바닷가나 깊은 산속 조용한 들녁등 외따로 떨어져 세상 사람들과 섞이지 않고 속세를 잊어버린 은자가 되어 한가롭게 정신적 여유로움을 즐길 수 있는 작으마한 움막 집을 일컫는 말일 게다. 靜窩(정와)는 옛 선현들의 시의 소재로도 멋진 성어로 보여 찾아보니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성호 이익(李瀷, 1681~1763)선생의 시문집성호전집 제4권에 시에 차운하다(次花谷靜窩韻)라는 시가 있어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蝦菜淹留海一濆(하채엄류해일분) 하채 즐기며 오랫동안 바닷가에 머문 채 優閒與物不容紛(우한여물불용분) 한가로이 지내면서 사람들과 안 섞이네 檐楹地借盤桓宅(첨영지차반환택) 대지는 처마 있..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5. 5.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沈毅(침의)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沈毅(침의) 沈毅(침의) 沈 잠길 침 毅 굳셀 의 침착하고 굳세다. 차분하고 굽힘이 없다. 沈毅(침의)는 침착하고 굳셈을 말하는 것으로서 예전에 문집에는 사용빈도가 많았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잘 사용하지 않은 성어로 바뀌었지 않았나 생각해 본다. 사용 용례를 찾던 중 경북 문경 출신 조선후기 성리학자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 1738~1816)선생의 시문집 입재집 제37권에 [갈명(碣銘) 종부시 정 남암 손공 묘갈명 병서(宗簿寺正南巖孫公墓碣銘 並序)손경석(孫景錫]에 좋은 문장이 있어 일부만 발췌해서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중략) 炳炳赤衷(병병적충) 빛나고 빛나는 그 충심이 輝暎寰區(휘영환구) 환하게 온 세상을 비추었네 盖公天資(개공천자) 대개 공의 타고난..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5. 2.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存心(존심)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存心(존심) 存心(존심) 存 있을 존 心 마음 심 1. 마음에 새겨 두고 잊지 않음. 처심(處心). 택심(宅心). 2. 마음속의 생각. 3. 맹자(孟子)에 기원(起源ㆍ起原)하는 유가(儒家)의 실천(實踐) 명제(命題) 욕망(慾望) 등(等)에 의(依)해서 본심[출처=네이버사전] 存心(존심)은 마음을 지키고 보존하는 일, 마음에 새겨두고 잊지 않음, 마음속의 생각등을 말하는 말로서 마음을 보존하는 글은 명심보감 존심편이 우리에게 익숙하게 다가오고 또 친근하다. 마음을 지키고 보존하는 일은 누구나 선(善), 최선(最善), 상선(上善)에서 나온 마음을 지키는 일을 말하고 할 것이다. 항상 옳은 마음, 좋은 마음, 선한 마음을 만드는 일은 스스로 행하고 늘 생각하는 자..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5. 2.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和氣(화기)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和氣(화기) 和氣(화기) 和 화할 화 氣 기운 기, 보낼 희 1. 따뜻하고 화창(和暢)한 날씨. 2. 온화(溫和)한 기색(氣色). 또는 화목(和睦)한 분위기(雰圍氣). 3. 생기(生氣) 있는 기색(氣色).[출처=네이버 사전] 和氣(화기)는 자연의 상태에서 따뜻하고 화창한 날씨를 일컫는 말이며 인간의 삶에서 말하면 온화하고 화목한 분위기와 생기 발랄한 상태 또는 기색을 일컫는 말이다. 온화하고 즐거우며 웃음이 넘치는 최상의 화목한 상태 和氣靄靄(화기애애)가 바로 화기에 대한 설명으로 최고인 것 같다. 발랄하고 생기있는 기색의 和氣(화기)는 온 세상을 상스럽게 만드는요소와 같은 것이기에 이 화기의 상태를 만드는 것은 곧 각 개인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행 할바..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4. 26.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彩雲(채운)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彩雲(채운) 彩雲(채운) 彩 채색 채 雲 구름 운 여러 빛깔로 아롱진 고운 구름. 상서로운 기운[출처= 네이버 사전] 彩雲(채운)은 하늘 공중에 뜬 구름의 물방울이 냉각되어 태양빛에 반사 굴절되어 구름 가장자리가 무지개 색을 띠는 모습을 채운이라 한다. 물방울이 굴절되어 비치는 빛의 자태가 너무나 아름답고 고와서 이를 상서롭게 서린 기운으로 여겨 옛날부터 나라의 큰 경사나 좋은 일이 일어 날 길조​로 받아드렸다. 이런 상서로운 징조를 놓칠 수 없기에 서둘러 붓들고 채운을 화선지에 담으려고 치유의 길에 나선 동우들을 위해 [지긋이 미소지며 '그대를 믿노라'하며 반기는 동우들이 믿는 달마(예수 부처 미호멧 삼신등)채운상]으로 형상화해서 휘 삼라의 이치를 모았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25.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曙光(서광)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曙光(서광) 曙光(서광) 曙 새벽 서 光 빛 광 1. 「어둠 속에서 처음으로 비치는 밝은 빛」이란 뜻으로, 2. 동틀 때의 빛. 새벽 빛. 3. 「어떤 일이 뜻대로 될 가능성(可能性)」의 비유(比喩ㆍ譬喩). 희망의 빛.[출처=네이버 사전] 曙光(서광)은 해가 뜨기 전에 어둠을 뚫고 처음으로 비치는 밝은 빛을 말하는 것으로 기대하는 일에 대하여 뜻대로 될 가능성 등 희망의 징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성어이다. 曙光(서광)이 비치고나면 이내 해가 떠 오르기 때문에 서광이 비치면 바로 좋은 일이 생긴다고 믿어지기에 좋은 일이 생길 징조라고 이야기하는 것이지만 때로는 비구름으로 인해 햇볕을 볼 수 없을 때도 있기에 曙光(서광)은 좋은 일이다가 아니라 일어 날 징조라고..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23.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禁煙(금연)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禁煙(금연) 禁煙(금연) 禁 금할 금 煙 연기 연, 제사 지낼 인 1. 담배를 끊음. 2' 담배를 못 피우게 함.[출처=네이버 사전] 禁煙(금연)은 말 그대로 담배를 못 피우게 하는 것을 말 한다.또한 완전히 담배를 끊은 것도 이에 해당한다. 담배를 피우는 행위를 吸煙(흡연)또는 喫煙(끽연)이라 한다. 흡연은 백해무익(百害無益)일 뿐이요 타인에게 피해만을 주는 것이 흡연 행위이다. 담배를 처음 피우면 대부분 서너 모금 만에 콜록콜록 이내 담배불을 끈다. 그런데 흡연자들 대부분은 여기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서너시간 후 또는 그 다음 날 아니면 그 훗날 그때 첫 피울 때 콜록거림을 생각하면서도 은근히 한대를 더 피워보고픈 강한 충동을 느낀다. 이것을 참는 자와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19.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求新(구신)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求新(구신) 求新(구신) 求 구할 구 新 새 신 새로운 것을 찾다. 새로운걸 추구하다. 求新(구신)은 새로운 것을 찾는 것을 의미하지만 인터넷 상으로 검색하면 안타깝게도 네이버와 다음 사전에는 검색되지않는 단어이고 네이버 중국어 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검색된다. 求新[qiúxīn] 신기함을 추구하다. 창의를 추구하다. 혁신을 추구하다. 이것은 아마도 명사가 어닌 관계로 인해 현재 우리가 자주 사용하지 않은 관계가 원인이 아닐까 생각 해 본다. 그래서 용례를 알아보려고 옛 문헌을 찾으니 서경에서 부터 많이 쓰인 용어이다. 우리의 선현들이 남긴 문헌 중에 고려사절요에 그 용례가 있어 몇 구절 소개해 본다. 여유당(정약용)전서 文集 卷十六 자찬 묘지명(自撰墓誌銘)에..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18.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寬仁(관인)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寬仁(관인) 寬仁(관인) 寬 너그러울 관 仁 어질 인 너그럽고 어짊.[출처=네이버 사전] 寬仁(관인)은 세상을 대하는 마음이 너그럽고 어짐을 이야기 한다라고 보면 맞을 것이다. 우리는 흔히 관인후덕(寬仁厚德)하라는 성어를 많이 쓴다. 그것은 그렇게 되어야 인간미가 있어 그 사회는 즐겁고 평화롭게 되기 때문이다. 어질고 너그럽고 덕이 두터운 사람 즉 관인후덕한 사람에게는 저절로 많은 사람들이 모여 들고 또 그런 사람 곁에 있으면 자신도 또한 관인후덕한 사람이 되어가기 때문에 누구든 관인을 당부한다. 마음이 너그럽고 인자(仁慈)하면 또한 도량(度量)이 크고 넓어지는 것은 당연하니 寬仁大度(관인대도)라 이야기한다. 좋은 글을 보고 가슴에 새기고 자기 것으로 만들어.. 공감수 1 댓글수 1 2023. 4. 17.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自強[自彊](자강)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自強[自彊](자강) 自強[自彊](자강) 自 스스로 자 強 강할 강 스스로 힘써 몸과 마음을 가다듬음 ① 스스로 노력하여 향상하다 ② 자기를 강하게 하다 [출처=다음어학사전] 自強[自彊](자강)은 스스로 힘써 노력하여 몸과 마음 또는 국가를 굳건하게 가다듬어 강하게 만들어 가는 일을 말한다고 할 수 있겠다. 우리는 흔히 하루도 쉬지 않고 스스로 강해지려는 자강불식(自強不息)을 강조 한다, 나라나 한 개인이 스스로 힘을 써 잡스런 생각을 떨쳐버리고 오로지 대동단결 단합의 마땅성을 찾아서 위엄 있고 서로 믿음성 있는 공경스러운 태도를 견지해 나가면 나라와 개인은 날로 자강(自强)해질 수 있다고 본다. 자강의 길은 고통스러운 일도 수반하게 되지만 그러나 그것을 참고..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17.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敦篤(돈독)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敦篤(돈독) 敦篤(돈독) 敦 도타울 돈, 다스릴 퇴, 제기 대, 모일 단, 아로새길 조, 덮을 도, 폭 준, 모을 둔 篤 도타울 독 인정(人情)이 도타움.[출처=네이버 사전] 敦篤(돈독)은 서로 간의 믿음 신뢰가 거듭 쌓여 어떠한 이간질에도 흔들림없이 굳건한 신뢰로서 서로 간의 인정이 매우 두텁거나 친구사이의 우정이 매우 깊은 상태를 돈독이라 말하며 유사어로는 돈후(敦厚), 독후(篤厚)가 있다. 서로 간의 시기하고 질투하고 혐오하고 헐 뜯으면 절대 신뢰는 쌓이지 않고 의리는 깨어져서 서로 돈독해지고 싶지만 불행히도 돈독해 질 수가 없다. 이와 같이 세상의 이치는 양면성이라서 하나가 좋으면 하나는 거둬들여야 되는 것이다. 합리적이지 않은 신뢰로 쌓인 돈독함은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14.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篤學(독학)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篤學(독학) 篤學(독학) 篤 도타울 독 學 배울 학, 가르칠 교, 고지새 할 1. 학문(學問)에 충실(充實)함. 2. 열성(熱誠)으로 학문(學問)을 닦음.[출처= 네이버 사전] 篤學(독학)은 학문에 충실한 것 또는 열성적으로 학문을 닦는 것을 말한다. 비록 발음은 같으나 스승 없이 혼자서 스스로의 힘으로 배움을 익혀나가는 독학(獨學)과는 별개이다. 배움에는 끝이 없기에 옛어르신들께서는 늘 제자나 후인들에게 학문 익히기를 게을리하지말고 끊임없이 하길 이 篤學(독학)을 권장하셨다. 필자도 늘 내일 당장 어찌 될지언정 하나라도 더 자기 것으로 익히고 배우면 그것이 곧 행복이요 즐거움이라 이야기하고 또 그렇게 지내고 있다. 특히 몸은 아플지라도 내일이라는 희망 치유..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4. 13.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春風(춘풍)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春風(춘풍) 春風(춘풍) 春 봄 춘, 움직일 준 風 바람 풍 봄바람. 봄철에 불어오는 바람.[출처=네이버 사전] 春風(춘풍)은 긴 겨울 잠에서 깨어난 생명에게 새로운 기를 불어 넣어주는 활력소와 같은 존재인 봄바람을 일컫는다. 사람이든 동물이든 식물이든 춘풍에 기지개를 펴고 제각기 삶의 현장으로 발길을 분주하게 움직이게 하는 바람 봄바람은 모두가 반갑게 맞이하고 기다리는 것이기에 봄바람이 불면 불어오면 괜히 가슴이 설렌다. 春風(춘풍)이 불어오면 희망은 생기를 찾아 나래가 달린 듯 힘차게 앞으로 박차고 나아간다. 그리하여 우리는 늘 마음속에 春風(춘풍)을 그리며 춘풍에 기대하듯이 아픈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효과는 약과 같은 春風(춘풍)이 몸과 마음 속에 함께..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12.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厚德(후덕)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厚德(후덕) 厚德(후덕) 厚 두터울 후 德 클 덕/덕 덕 두터운 심덕(心德). 또는 두터운 덕행(德行). ‘도타운 덕’으로 순화(醇化).[출처=네이버 사전] 厚德(후덕)은 넉넉하고 어질고 너그럽고 온후한 심덕이 많은 것을 말하는 것일게다. 덕이 어질고 덕을 행함이 두텁고 점잖은 사람을 厚德君子(후덕군자)라 한다. 덕을 쌓고 행함은 곧 세상을 아름답게 이화시키는 근원적 동력이 된다는 사실을 우리는 잊지 않아야 한다. 자신의 수고로움으로 쌓은 덕은 상대방 불특정 다수의 타인들이 혜택받아 즐겁게 되는 것이기에 치유에서 반드시 가져야 할 덕목이라 적극 권장한다. #치유, #치유서예, #치유전문가, #치유작가, #치유서예가, #서예, #문인화, #서화, #그림치유,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11.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茶仙(다선)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茶仙(다선) 茶仙(다선) 茶 차다 仙 신선 선 차를 즐기며 차(茶)의 예절과 문화인 다도에서 신선같은 경지에 다다른 사람을 다선이라고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차(茶)를 즐기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성품이 온화하고 행실이 바르며 겸손한 덕을 지니고 있다라고 한다. 필자는 생활의 삶이 그리 여유가 녹녹치 못해 차를 즐길 시간은 그리 없지만 차향에 젖는 마음은 다인에 못지않다라고 본다. 茶仙(다선)을 치유의 성어로 선택한 것은 차를 즐겨마시자라고 한것이 아니라 차의 맛 보다도 차의 향을 즐기면서 마음을 비우고 오로지 정진하는 수행자의 자세처럼 정신을 맑게하는 다도에 이르면 치유에 상당한 도움을 얻을 수 있기에 차를 즐기며 다선의 경지를 체험하고 그런 경지에 이르러..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4. 10.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自然(자연)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自然(자연) 自然(자연) 自 스스로 자 然 그럴 연/불탈 연 1. 저절로 그렇게 되는 모양(模樣). 사람의 힘을 더하지 않는 천연(天然) 그대로의 상태(狀態). 2. 조화(調和)의 힘에 의(依)하여 이루어진 일체(一切)의 것.[출처=네이버 사전] 自然(자연)은 사람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 우주 조화의 힘에 의해 이뤄지는 것을 말한다. 즉 저절로 이뤄지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일은 자연스럽게 되어야 한다는 자연(自然)주의를 주창한 노자는 되지 않는 일을 사람이 억지로 하지않고 자연의 이치를 거스르지 않고 순리에 따라야 하고 즉 인위(人爲)가 없는 자연에 맡기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을 주창했다. 무위자연(無爲自然)을 주창했다고 하니깐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냥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9.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是非(시비)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是非(시비) 是非(시비) 이 시/옳을 시 非 아닐 비/비방할 비 1. 시(是)와 비(非). 잘잘못. 2. 옳으니 그르니 하는 말다툼.[출처=네이버 사전] 是非(시비)는 옳고 그름 즉 잘잘못을 말하지만 이 是非(시비)를 말하는 사람이 是非(시비)라고 할 정도로 是非(시비)하기를 좋아하는 것이 우리 인간세상이다. 옳은 것은 옳다, 그른 것은 그르다라고 하는 是是非非(시시비비)가 명확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면 계속 시비가 존재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일이나 말이나 행동에 임할 때는 늘 먼저 자신이 해야 하는 것이 사사로운 뜻(意)이냐 마땅한 옳음(義)냐를 단 한번이라도 생각을 하고 행한다면 是非(시비)가 있더라도 자기만의 주장을 당당하게 펼 수 있을 것이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8.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思惟(사유)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思惟(사유) 思惟(사유) 思 생각 사, 수염 많을 새 惟 생각할 유 1. 마음으로 생각함. 2. 개념(槪念), 구성(構成), 판단(判斷), 추리(推理) 등(等)을 행(行)하는 인간(人間)의 이성(理性)이 작용(作用). 인... 3. 대상(對象)을 분별(分別)하는 일. 또는 정토(淨土)의 장엄(莊嚴)을 관찰(觀察)하는 일. 선정(禪定)에 들어가기 전...[출처=네이버 사전] 생각하고 더 생각하는 마음 속으로 깊이 생각하는 것을 思惟(사유)라 한다. 즉 불교에서는 사유를 대상을 분별하고 생각하고 깊이 가늠하여 추리하고 생각하고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을 思惟(사유)라고 말한다고 한다. 마음속으로 깊이 생각하는 思惟(사유)의 세계를 화선지에 담는 것은 사사로운 아집과..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4. 6.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蓮花(연화)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蓮花(연화) 蓮花(연화) 蓮 연꽃 련(연) 花 꽃 화 연의 꽃. 연꽃.{출처=네이버 사전] 흙탕물에 자라서도 물들지 않고 청아하고 깨끗한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하여 군자의 기품을 닮은 군자화라고도 한다. 문인화 소재로 각광을 받는 연화는 흔히 십군자의 하나로 문인화가들이 즐겨 그리는 소재의 꽃이다. 그런 귀중한 꽃을 어눌한 붓 솜씨로 서예와 그림을 어설프게 접목하여 감히 치유의 서예로 발표 한다. 그것은 누구나 할 수 있다라는 것을 선구자로서 실천하기 위해서다. #치유, #치유서예, #치유전문가, #치유작가, #치유서예가, #서예, #문인화, #서화, #그림치유, #힘, #서예차료, #그림치료, #기운생동, #서예작품, #서예치유, #서예치유작가, #치유미술,..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4. 6.
  •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安樂(안락) 치유서예 Healing calligraphy- 安樂(안락) 安樂(안락) 安 편안 안 樂 노래 악, 즐길 락(낙), 좋아할 요 편안(便安)하고 즐거움.[출처=네이버 사전] 安樂(안락)은 마음에 괴로움이 없고 세상만사에 응하는 마음과 신체가 매우 편안하고 즐거움이 절로 베어 나오며, 신체나 마음에 각종 군더더기 질병이 없고, 근심 걱정, 온갖 번뇌에서 벗어난 가운데 최상의 즐거운 상태를 말 할수 있겠다. 사람은 늘 언제나 편안한 마음을 추구하고, 또 즐거운 마음으로 일에 임하며, 그것을 스스로 행할 때 불교에서는 안락행(安樂行)이라고 하듯이 안락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각고의 노력이 반드시 따라야 할 것이며 그렇게 얻어진 안락이 진정한 안락의 맛일 게다. 치유에서 마음의 안락은 매우 중요한 것이기에 이 안락을 ..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4. 6.
  • 씨원뉴스 (환기 9220년 2월 1일 이월 초하루) 2023년 2월 20일 오전 6시 32분 메인화면 http://www.c1news.kr 씨원뉴스 (환기 9220년 2월 1일 이월 초하루) 2023년 2월 20일 오전 6시 32분 메인화면 【씨원뉴스】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 www.sktelecom.com)이 오는 27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하는 MWC23에서 AI · UAM · 6G 등 미래를 선도할 ICT 기술을 전 세계에 소개하고, 글로벌 협력을 확대한다라고 전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2. 20.
  • 치유란? (治癒) 치유 (治癒) 1. 치료하여 낫다 2. 치료를 받고 병이 나음 [출처=다음 국어사전] 治療(치료)와 治癒(치유)는 비슷한 말이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치료는 치료인데 다르다. 치료는 병을 다스려 고치는 일이다. 고치려는 적극적 행위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다. 치유는 병을 다스려 낫게 하는 행위이다. 치료와 같은 듯한데 다름은 심리적인 안정과 심리적인 요소가 추가되는 일이다. 필자의 경험에 의하면 6년전 수술치료하지 않으면 3~4개월 시한부 인생(편두선암 위암 임파선암)말기암의 선고를 받고도 담담했던 그때 암을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수술과 항암 방사선 치료에 임하면서 필자 나름의 한방산야초차와 운동 등등으로 붓도 잡고 집필도 하고 암을 앚고 지내는 방법을 찾아 치료치유에 임했다. 그 결과 필자의 몸..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2. 11.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