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도(常道)
백운 김대현
도의 길로 나아간다는 것은 일상적인 생활 속에 자신과 더불어 인간이 삼라만상의 자연스러운 흐름의 법칙이 자신과 하나로 엮어져 올바르게 똑바로 세워져서 행해지는 것이 도의 첫 걸음이 아닐까 한다.
옳고 그름, 나쁨과 바름을 우리는 흔히 분별하려 하지만 대개 그 구분은 개인적 도의 기준에서 잣대를 대어보려 하다 보니 그 분별된 사안이 이웃과 다른 사람들과 상충되어 서로 다툼이 일어나 서로가 자기들이 도의 기준에서 합당하다고 주창을 하는 경우를 요즘 세상사에서 흔히 보고 있다
일반적인 세상사가 이러하다보니 소위 정치를 하는 위정자들은 더 앞장서서 자기주장을 펼치기 위해 서스름없이 열변을 토하고 그것을 관철하려 한다
도라는 것은 혼자서 세워지는 것도 아니고 남에게서 얻어 올 수도 있는 것도 아닌 것이다
이웃과 삼라만상과 나에게서 나오는 자연스러운 것과 옛 어르신들의 도의 기준과 앞으로 미래세상의 그 흐름과 서로 상통하고 합당하게 맞아 떨어져야 그렇게 행해진 것이 도이고 그것을 늘 시행하고 생각하며 본분을 지키는 것이 상도라 할 수 있지 않을까?
그 도를 바르게 세우고 또 그 도를 밝게 해야 세상이 어지럽지 아니하고 밝게 나아갈 것이고 발전적이 될 것이기에 늘 이웃과 삼라만상과 나를 마땅하게 해야 도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보며 긁적여 본다.
세상의 올바른 길
도를 밝히고 의를 바루자
[明道林]도 길을 밝게 하는 사람들
선생님을 明道로 모십니다
상황버섯한방전문 기력회복 최고건강식
도가니탕 소머리곰탕 선지해장국
청송진보 종가집해장국 010 8734 9150
https://smartstore.naver.com/0548726699https://smartstore.naver.com/0548726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