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가집산나물 재배 산야초/세상 이야기

한시漢詩의 갈래 및 평측법平仄法 그리고 운자韻字

백운선사 김대현 2011. 3. 16. 01:20

한시漢詩의 갈래 및 평측법平仄法 그리고 운자韻字

 

<한시漢詩의 갈래>

 

고체시古體詩 - 시경체詩經體, 초사체楚辭體, 악부체樂府體

 

근체시近體詩 - 양나라 심약이 사성 설을 제창하면서 비로소 시의 성율이 생기게 된다. 당나라 초기에 와서 근체시의 형식이 확립되는데 심전기, 송지문 등에 의해서 사성을 교묘히 배열하여 음성의 조화를 꾀하고 거기에 음악적인 미감을 내기 위하여 압운법과 평측법이라는 외형의 틀을 엄격히 세우게 된다.

절구 - 4구 - 오언절구, 칠언절구,

율시 - 8구 - 오언율시 칠언율시

배율 - 12구 이상 - 오언배율, 칠언배율

 

 

<한시漢詩의 평측법平仄法>

 

한시란 원래 음악적 가락에 맞추어 읊조리던 것이다.

고체시古體詩는 압운押韻만 지키고 평측平仄에는 자유로우나 근체시近體詩는 평측법과 압운법을 엄격히 지킨다.

 

 

五言節句 正格(仄起式)

◑ ● ○ ○ ●

◑ ○ ◑ ● ◎

◑ ○ ○ ● ●

◑ ● ● ○ ◎

 

五言節句 偏格(平起式)

◑ ○ ○ ● ●

◑ ● ● ○ ◎

◑ ● ○ ○ ●

◑ ○ ◑ ● ◎

五言律詩 正格(仄起式)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五言律詩 偏格(平起式)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七言節句 正格 (平起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七言節句 偏格 (仄起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七言律詩 正格 (平起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七言律詩 偏格 (仄起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平 혹은 仄 ● 仄聲 ○ 平聲 ◎ 韻

 

이상과 같은 도표가 이른바 한시에 있어서 절대로 무시되어서는 안 되는 규정된 樂譜이다.

 

이 가운데에서도 特別히 외우는 公式이 있는데, 이를테면 七言의 경우 二四不同 二六同이라든가, 무릅자에 特別히 주의를 요한다. 무릅자는 五言의 경우 세 번째 글자이고, 七言의 경우는 第五字가 바로 그것이다.

 

七言이든 五言이든 律詩의 경우 頷聯과 頸聯은 반드시 對聯이어야 하며, 그중에 核은 당연하게 頸聯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더러 發表되는 作品 가운데에서 살펴지는 것은 頷聯의 外句와 경련의 內句를 對聯作品으로 써 내는 것을 보면 한심한 생각으로 어쩔 줄을 모르게 하는 경우가 더러 있었다.

 

 

우선 여기까지 關心을 가지고 살펴보았다면, 다음 기회에는 글자의 높낮이에 대한 수용방법에 접근해 보기로 한다.

 

 

四聲의 區分

 

여기서 四聲이라고 하는 것은 현재 中國(중국)에서 使用되고 있는 聲條(성조)와는 다르다. 중국의 聲條는 言語의 리듬(rhythm)이지만, 漢字의 四聲은 文字의 音

 

樂的인 자리값이다. 리듬과 음악적인 자리값이 어째서 다른가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그다지 관계가 없으므로 詳述을 피한다. 따라서, 중국어中國語는 생각하지 말고, 그냥 文字의 자리값인 四聲으로만 생각하고 接近하기 바란다. 中國語와 漢詩는 같은 文字를 사용하고는 있지만, 글을 만드는 방법이 다르므로 따지지 않기로 한다.

 

四聲 가운데 가장 확실하게 알아야 할 것이 바로 平聲이다. 이 평성만 알고 있으면 글 만들기가 매우 쉬워진다. 그것은 평성이 아닌 글자는 자연스럽게 仄聲이 되기 때문이다. 이 평성은 上平 15자, 下平 15자로 분류되어 있으나, 지금은 上下平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종합적으로 함께 사용하고 있다.

 

 

<106 운자韻字>

 

平聲(30韻)

上平(15韻)

동東 동冬 강江 지支 미微 어魚 우虞 제齊

가佳 회灰 진眞 문文 원元 한寒 산刪

 

下平 (15韻)

선先 소蕭 효肴 호豪 가歌 마麻 양陽 경庚

청靑 증蒸 우尤 침侵 담覃 염鹽 함咸

 

上聲 (29韻)

동董 종腫 강講 지紙 미尾 어語 우麌 제薺

해蟹 회賄 진軫 문吻 완阮 한旱 산潸 선銑

소篠 교巧 호皓 가哿 마馬 양養 경梗 동迵

유有 침寢 감感 염琰 함豏

 

去聲(30韻)

송送 공宋 강絳 치寘 미未 어御 우遇 제霽

태泰 괘卦 대隊 진震 문問 원願 한翰 간諫

산霰 소嘯 효效 호號 개箇 마禡 양漾 경敬

경徑 유宥 심沁 감勘 염豔 함陷

 

入聲 (17韻)

옥屋 옥沃 각覺 질質 물物 월月 갈曷 힐黠 설屑

약藥 맥陌 석錫 직職 집緝 합合 엽葉 흡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