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어문집182

[成語文集 白雲筆談] 명도명의 明道明義 백운선사 김대현이 붓으로 풀어가는 주머니 속 성어이야기[成語文集 白雲筆談] 명도명의 明道明義 밝을 명明 길 도道 밝을 명明 옳을 의義 도를 밝히고 의를 밝히다 이 성어는 19세기 조선 후기의 철학자 혜강 최한기(惠崗 崔漢綺 1803~1877)선생이 그의 학문방법을 설명한 기측체의(氣測體義) 추측록(推測錄) 권오(卷五) 추기측인(推己測人)에 도를 밝히고 의를 밝히다(明道明義)에서 발췌하다 明其可明之道者 以人心循道心 명기가명지도자 이인심순도심 正其可正之義者 以人事合義理 정기가정지의자 이인사합의리 若以人心自明人事自正 약이인심자명인사자정 非可明之道可正之義也 비가명지도가정지의야 古昔聖賢 明道正義 고석성현 명도정의 已盡其大致 後世所謂明正之方 이진기대치 후세소위명정지방 如非捄流俗之弊 必是務勝大之習也 여비구류속지폐 필.. 2021. 8. 18.
[成語文集 白雲筆談] 완양체찰 玩養體察 백운선사 김대현이 붓으로 풀어가는 주머니 속 성어이야기[成語文集 白雲筆談] 완양체찰 玩養體察 희롱할 완玩 기를 양養 몸 체體 살필 찰察 완색(더욱 깊게 뜻을 헤아리다)하고 함양하며 체험하고 관찰하다 이 성어는 조선의 대학자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선생의 시문집인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 권이십오(卷二十五)에 정자중에게 답한 별지(答鄭子中別紙)에서 발췌하다 莊子所見 高於康節處 장자소견 고어강절처 今不可揣度而言 금불가췌도이언 其氣豪於康節處 則因其語而可知 기기호어강절처 즉인기어이가지 由其氣豪而辭蕩 故言之能極其所見之高處 유기기호이사탕 고언지능극기소견지고처 此康節所以有不及也 차강절소이유불급야 然而彼之毁聖蔑禮 得罪名敎之病 康節卻無之 연이피지훼성멸례 득죄명교지병 강절각무지 何可比同之耶 하가비동지야 .. 2021. 8. 14.
사자성어풀이[白雲筆談] 박잡괴랄 駁雜乖剌 백운선사 김대현이 붓으로 풀어가는 주머니 속 이야기 사자성어풀이[白雲筆談] 박잡괴랄 駁雜乖剌 얼룩말 박駁 섞일 잡雜 어그러질 괴乖 어그러질 랄剌 뒤섞이고 뒤엉키다 즉 서로 어수선하게 뒤섞여서 어지럽고 난잡하다라는 의미이다 이 성어는 조선 건국초기 2대 명신이자 명문장가였던 춘정 변계량(春亭 卞季良1369~1430)선생의 시문집인 춘정선생문집(春亭先生文集) 권륙(卷六)에 영락 13년 6월일의 봉사(永樂十三年六月日封事)에서 발췌하다 殿下之小心恭己 전하지소심공기 敬天愛民 可謂至矣 경천애민 가위지의 求之前古 盖亦稀有 구지전고 개역희유 但奉行者 未能上體至懷 단봉행자 미능상체지회 以致陵夷者 則盖有之矣 이치릉이자 칙개유지의 臣故斷然以爲當今之世 신고단연이위당금지세 有君無臣 非諛言也 유군무신 비유언야 殿下迺以旱灾自責 전.. 2021. 7. 6.
[成語文集 白雲筆談] 작약기부 綽約肌膚 백운선사 김대현이 붓으로 풀어가는 주머니 속 성어이야기[成語文集 白雲筆談] 작약기부 綽約肌膚 너그러울 작綽 묶을 약約 살 기肌 살갗 부膚 부드럽고 아름다운 살갗(피부) 또는 살결같이 매우 단아하고 아름답다 라는 의미이다 이 성어는 조선시대 중기 대사헌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지봉 이수광(芝峯 李睟光1563~1628)선생의 시문집인 지봉선생집(芝峯先生集) 권십륙(卷十六)에 납매를 읊다 병서(詠臘梅 幷序)에서 발췌하다 在玉河館日 有通官秦仁男者 재옥하관일 유통관진인남자 得一盆梅俾觀之 득일분매비관지 古幹疏枝 淸香冷蕊 고간소지 청향랭예 眞梅中第一品也 진매중제일품야 其始開者 如姑射仙人 기시개자 여고사선인 綽約肌膚 臨風啓齒 작약기부 림풍계치 其欲吐者 如月宮素娥 기욕토자 여월궁소아 身着白霓裳 半露顏面 신착백예.. 2021. 7. 3.
[成語文集 白雲筆談] 재장중정 齊莊中正 백운선사 김대현이 붓으로 풀어가는 주머니 속 성어이야기[成語文集 白雲筆談] 재장중정 齊莊中正 가지런할 재齊 풀 성할 장莊 가운데 중中 바를 정正 가지런하고 엄숙하며 바름이 중도에 맞다 이 성어는 중용 제31장에 나오는 말로 지성(至誠)의 덕을 표현한 말이다 이 성어는 고려 후기의 대학자인 가정 이곡(稼亭 李穀 1298∼1351)선생의 시문집인 가정선생문집(稼亭先生文集) 권십(卷十)에 원나라 정조를 하례한 표문 행성의 명의로 보낸 것(賀正表 權省行)에서 발췌하다 起居 기거 權分省治 邈居出日之隅 권분성치 막거출일지우 遙望朝儀 切祝齊天之筭云云 요망조의 절축제천지산운운 政在璿璣 茂迓泰亨之運 정재선기 무아태형지운 祥凝黼扆 肅陳元會之儀 상응보의 숙진원회지의 萬象皆春 一人有慶云云 만상개춘 일인유경운운 齊莊中正 濬哲文.. 2021. 6. 3.
[成語文集 白雲筆談] 표묘수발 縹緲秀發 백운선사 김대현이 붓으로 풀어가는 주머니 속 성어이야기[成語文集 白雲筆談] 표묘수발 縹緲秀發 옥색 표縹 아득할 묘緲 빼어날 수秀 쏠 발發 아득하고 한없이 빼어나게 아름답다 이 성어는 조선 후기 성리 학자인 심재 조긍섭(深齋 曺兢燮 1873∼1933)선생의 시문집인 암서집(巖棲集) 권이십이(卷二十二)에 낙봉정 기(洛峰亭記)에서 발췌하다 洛峰亭記 락봉정기 余友安復初以其所述洛峰亭重建事實求余記 여우안부초이기소술락봉정중건사실구여기 盖君之先處士嵋東公甞於所居之左兩麓間 개군지선처사미동공상어소거지좌량록간 愛其頗有林磵之趣 營移書屋 애기파유림간지취 영이서옥 且從朴上舍文會求洛峰亭題額 以遺諸子而沒 차종박상사문회구락봉정제액 이유제자이몰 今者諸子孫始成其志 至屋制之止三間 금자제자손시성기지 지옥제지지삼간 亦遵遺令而不越其謀建也 역준유령.. 2021.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