벡운선사 2

[成語文集 白雲筆談] 담피증서 覃被烝庶

백운선사 김대현이 붓으로 풀어가는 주머니 속 성어이야기[成語文集 白雲筆談] 담피증서 覃被烝庶 미칠 담覃 이불 피被 찔 증烝 여러 서庶 여러 사람(국민)들에게 널리 미치다 이 성어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청백리인 도곡 이의현(陶谷 李宜顯1669~1745)선생의 시문집 도곡집(陶谷集) 권팔(卷八) 응제록(應製錄)에 종친부에서 대행왕비전에 진향할 때의 제문(大行王妃殿宗親府進香祭文)에서 발췌하다 率禮蹈謙 施仁布恕 솔례도겸 시인포서 德稱紞綖 衣澣絺紵 덕칭담연 의한치저 貫魚以寵 虗儲軫慮 관어이총 허저진려 中罹否運 簡以知阻 중리부운 간이지조 小心苦身 屢更寒暑 소심고신 루경한서 率土晦瞢 沉痛其茹 솔토회몽 침통기여 天道循環 夫孰能禦 천도순환 부숙능어 聖心祗悔 如日初曙 성심지회 여일초서 二儀再奠 六騩重馭 이의재전 륙귀중어..

[成語文集 白雲筆談] 효로최저 効勞最著

백운선사 김대현이 붓으로 풀어가는 주머니 속 성어이야기[成語文集 白雲筆談] 효로최저 効勞最著 형상할 효効 일할 로勞 가장 최最 분명할 저著 일을 한 공로가 가장 뚜렷하다 이 성어는 조선시대 정조대왕이 동궁 시절부터 국왕 재위기간 동안 지었던 여러 시문(詩文) 윤음(綸音) 교지 및 편저 등을 모아 편집한 홍재전서(弘齋全書) 권삼십사(卷三十四)에 온양 행궁의 괴대에 비석을 세우라는 하교(溫陽行宮槐臺竪碑敎)에서 발췌하다 兵曹以陪從人咸鏡監司趙宗鉉 병조이배종인함경감사조종현 以洗馬陪從啓 이세마배종계 敎曰 亦爲加資 念其先重臣陪從之事 교왈 역위가자 념기선중신배종지사 豈勝愴傷 重臣官敎傳宣日 기승창상 중신관교전선일 亦爲致祭於故重臣趙雲逵 역위치제어고중신조운규 而又思之 故重臣之先重臣 이우사지 고중신지선중신 卽予封冊時師傅也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