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찬1 [成語文集 白雲筆談] 오지류찬 忤旨流竄 백운선사 김대현이 붓으로 풀어가는 주머니 속 성어이야기[成語文集 白雲筆談] 오지류찬 忤旨流竄 거스를 오忤 맛있을 지旨 흐를 류流 숨을 찬竄 입맛에 거슬리어 멀리 쫓겨나다 즉 임금의 뜻에 거슬러서 류찬(귀양)의 형벌을 받다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인 우암 송시열(尤菴 宋時烈 1607~1689)선생의 시문집 송자대전(宋子大全) 권일백삼십팔(卷一百三十八)에 시남집서(市南集序)에서 발췌하다 孝廟初服 忤旨流竄 효묘초복 오지류찬 仍復退處 八九年之間 잉부퇴처 팔구년지간 所以危深增益 理明而義精者 소이위심증익 리명이의정자 又非前日之比也 우비전일지비야 及其末年 際遇昭融 급기말년 제우소융 取以自近 而處之以機要 취이자근 이처지이기요 公亦以世道自任 知無不言 공역이세도자임 지무불언 必竭底蘊 世方期其有爲 而孝廟上賓矣 필갈저온 세방기.. 2021. 3.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