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무유책1 [成語文集 囊裏談筆] 산무유책 算無遺策 백운선사 김대현의 주머니 속 이야기 붓으로 풀어가는 [成語文集 囊裏談筆] 산무유책 算無遺策 셀 산算 없을 무無 끼칠 유遺 채찍 책策 계획을 짜는데 나무랄만한 허점이 없다 계획을 수립하는데 주도면밀하여 빈틈을 찾을 수 없다라는 의미이다 이 성어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며 성리학자인 삼봉 정도전(三峯 鄭道傳 1337~98)선생의 시문집인 삼봉집(三峯集)권삼(卷三)봉화정도전저서(奉化鄭道傳著序)에 전교 김부령에게 주는 시의 서(贈典校金副令詩序)에서 발췌하다 今相國河公秉全羅原帥之節 至則曰 금상국하공병전라원수지절 지칙왈 方隅任重 軍民務殷 理法征謀 방우임중 군민무은 리법정모 宜咨賢有識達者然後行事 의자현유식달자연후행사 請義卿參帷幄 待以上賓 청의경참유악 대이상빈 義卿感國士之遇 의경감국사지우 知無不言 算無遺策 지무불언.. 2020. 9.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