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문일취1 [成語文集 囊裏談筆] 온문일취 溫文日就 백운선사 김대현의 주머니 속 이야기 붓으로 풀어가는 [成語文集 囊裏談筆] 온문일취 溫文日就 따뜻할 온溫 글월 문文 날 일日 이를 취就 따뜻하고 아름다움이 날로 좋아지다 문장과 덕이 온화하고 아름답게 나날이 발전해 간다는 의미이다 이 성어는 조선 후기의 학자 강재 송치규(剛齋 宋穉圭 1759~1838)선생의 시문집인 강재집(剛齋集)권일(卷一)에 자의(관직)를 사양하는 소(辭諮議疏)에서 발췌하다 竊惟我王世子睿質天成 절유아왕세자예질천성 溫文日就 令聞益彰 온문일취 령문익창 八域延頸 팔역연경 今於受冊之初 宜盡輔導之方 금어수책지초 의진보도지방 而顧乃以鹵莽如臣者 이고내이로망여신자 猥廁於遴揀之列 豈不舛謬乎 외측어린간지렬 기불천류호 臣若不自量度而冒昧趨承 신약불자량도이모매추승 則其爲玷名器而累淸朝 칙기위점명기이루청조 以招一.. 2020. 8. 21. 이전 1 다음